노무현이 옳았다 : 기자들에게만 공개할 수 있는 정보는 없다.

노무현이 옳았다 : 기자들에게만 공개할 수 있는 정보는 없다.

나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옳았다고 생각한다. 노 전 대통령은 임기 말에 기자실 폐쇄를 추진했다가 엄청난 역풍에 부딪혔다. “기자들이 기자실에 죽치고 앉아 담합하며 기사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는 국무회의 발언이 불을 질렀다. 기자실 ‘대못’이란 말도 그때 나왔다. 진보 보수를 막론하고 언론이 들고 일어났고, 노 대통령은 전쟁을 벌여야 했다. 정권이 바뀐 뒤 ‘대못’이 뽑혔다. 기자실이 다시 열렸고 지정석과 독서실 칸막이도 살아났다. 노 전 대통령의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수학 만점왕 47페이지 11번 문제.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수학 만점왕 47페이지 11번 문제.

검색하기 좋게 제목을 달았습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12개의 못이 박혀 있는 나무판에 고무줄을 한 개 걸어 직각 삼각형을 만들려고 합니다. 만들 수 있는 직각 삼각형은 모두 몇 개인지 구해 보세요.” EBS 수학 교재 만점왕에 실린 문제입니다. 초등학교 3학년 수학 문제가 이렇게 어려워도 되나 싶은데 정작 해설도 답도 틀렸네요. 해설지에는 정답이 80개라고 나와 있는데. 애초에 이 점들이 같은 간격이라는 설명이 없으면 대각선으로 직각이 되는지 안 되는지...
구글이 단종시킨 비운의 하드웨어, 크롬캐스트 오디오.

구글이 단종시킨 비운의 하드웨어, 크롬캐스트 오디오.

중고로 보이면 무조건 질러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인데. 35달러짜리 제품이 요즘 중고가가 10만 원을 넘어가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기능 가운데 하나가 크롬캐스트 오디오가 광(optical) 출력을 지원한다는 것. 그러니까 3.5mm 구멍으로 아날로그 출력과 디지털 출력(mini-toslink)을 동시에 지원한다는 이야기죠. 같은 구멍에 아날로그 케이블을 꽂으면 아날로그 출력이, 디지털 케이블을 꽂으면 디지털 출력이 나오는 거죠. (두 번째 사진이 디지털 광...
주요 언론사 매출액 2021년 업데이트.

주요 언론사 매출액 2021년 업데이트.

18개 주요 신문사 매출액을 집계해 봤습니다. 해마다 이 데이터를 집계하고 있는데 지난해에는 상당수 신문사가 매출이 반등했습니다. 매출액 순위로 보면 2019년 조중동한매에서 2020년부터 다시 조중동매한으로 바뀌었고요. 아래 그림에서 보시다시피 지난 20년 동안 주요 언론사 매출액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18개 주요 일간지 매출액 합계가 2조 원 밑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섰습니다. 조중동의 매출이 추세적으로 줄어들고 있지만...
‘우리 편’ 언론만으로는 세상을 못 바꾼다.

‘우리 편’ 언론만으로는 세상을 못 바꾼다.

당신은 당신이 지지하는 후보에게 치명적인 공격이 될 수 있는 기사를 쓸 수 있는가? 당신은 절대 당선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후보에게 유리한 사실을 기사로 내보낼 수 있는가? 이 질문에서 자유로운 기자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옳다고 생각하는 가치를 위해 싸우지만, 그 가치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 나에게 옳은 것이 당신에게 옳지 않을 수 있고 내가 옳다고 믿는 것이 전부가 아닐 수도 있다. 언론인에게 요구되는 것은 그들의 주장을 소리 높여 외치라는 것이 아니라...
공항에 왔는데 신분증이 없다면?

공항에 왔는데 신분증이 없다면?

옛날에는 얄짤없이 탑승 금지였지만 요즘은 몇 가지 방법이 있다. 1. 항공사 카운터에 가서 신분증을 안 가져 왔다고 실토하면 에효~ 하는 표정으로 다른 직원을 붙여준다. “이 분 따라 가세요.” 2. 그 직원을 따라 무인 민원 발급기로 가서 주민등록등본을 발급 받는다. 200원, 카드 결제 가능. 24시간 가동된다고. 3. 지문 확인을 하고 등본이 출력되는 과정을 항공사 직원이 옆에서 지켜보면서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게 필수. 4. 등본이 나오면 손목에 종이 밴드를 채워준다....
뉴욕타임스 유료 구독자 1000만 명 돌파.

뉴욕타임스 유료 구독자 1000만 명 돌파.

어제 뉴욕타임스의 지난해 실적이 공개됐죠. 유료 구독자가 879만 명, 전체 매출에서 구독이 차지하는 비중이 66%까지 올라갔습니다. (지난해에는 광고가 좀 잘 된 모양인지 이 비중이 오히려 줄어든 것입니다.) 유료 구독자는 최근에 인수한 애슬레틱을 합치면 1000만 명을 넘어선 상황이고요. 애슬레틱은 기자 수가 400명, 유료구독자가 120만 명입니다. 유료 구독을 별도로 가져갈지 하나의 멤버십으로 합칠지 모르겠지만 일부는 중복도 있을 거고요. 일단 1000만 목표는...
말만 앞섰던 언론 개혁, 정치 의존을 넘어야 한다.

말만 앞섰던 언론 개혁, 정치 의존을 넘어야 한다.

미디어오늘 사설. 2022년 1월 5일. 2008년 8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정연주 KBS 사장을 해임하면서 방송법의 임명권 조항이 논란이 됐던 적 있다. 1999년까지는 대통령이 KBS 사장에 대한 ‘임면권’을 갖고 있었는데 2000년 1월,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면직 규정을 없애고 ‘임명권’으로 바꾼 것이다. 대통령이 KBS 사장을 임명하긴 하지만 외부의 간섭과 압력으로부터 공영 방송의 독립을 지킬 수 있도록 임기를 보장하기로 한 것이다. 정 전 사장은 3년 뒤 해임...
자유언론실천상 특별상을 받았습니다.

자유언론실천상 특별상을 받았습니다.

자유언론실천재단에서 선정하는 자유언론실천상 특별상을 받았습니다. 더 잘 하라는 격려와 질책의 의미로 받아들이겠습니다. 유신 독재 시절인 1974년, 동아투위의 자유언론실천선언에 뿌리를 둔 자유언론실천재단은 첫째, 바른 언론 공동체를 만드는 것과 둘째, 언론을 바로 일으켜 세우는 것, 두 가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언론 운동의 선배들이 만든 재단입니다. “역사 앞에 거짓된 글을 쓸 수 없었다”던 선배들이 주신 이 상의 무게를 잊지 않겠습니다. —–...
‘문제 해결 저널리즘’이 출간됐습니다.

‘문제 해결 저널리즘’이 출간됐습니다.

문제해결 저널리즘. 서지 정보. 글 : 이정환. 출판사 : 인물과사상사. 발행일 : 2021년 11월 25일. ISBN : 978-89-5906-622-3 패키지: 반양장 · 변형판 132×225 · 384쪽. 가격 : 18,000원. 분야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책 소개. 우리에게는 많은 문제가 있다. 이 책은 해법을 고민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사람들을 위한 변화의 매뉴얼이다. 솔루션 저널리즘을 한국에 소개하고 실행 방법론을 제안해 왔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