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 연결 없이 라즈베리파이 원격 제어하기.

모니터 연결 없이 라즈베리파이 원격 제어하기.

1. 일단 SD카드를 컴퓨터에 연결해서 라즈베리 OS를 설치해 줍니다. 2. 자동으로 와이파이를 잡아주기 위해 루트 디렉토리에 wpa_supplicant.conf 파일을 만들고 다음과 같이 적어줍니다.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접속하면 됩니다. cd /Volumes/boot touch ssh vi wpa_supplicant.conf country=US ctrl_interface=DIR=/var/run/wpa_supplicant GROUP=netdev update_config=1...
고기는 과학이다… 티본 스테이크 잘 굽는 방법.

고기는 과학이다… 티본 스테이크 잘 굽는 방법.

유튜브에 뒤져보면 온갖 비법이 넘쳐나는데 전문가들도 조금씩 스타일이 다르다. 스테이크를 잘 굽는 모든 노하우는 결국 안쪽까지 온도가 잘 전달되게 만드는 것이 전부다. 자칫 겉은 타고 안은 피가 뚝뚝 떨어지는 상황을 피하려면 최적의 온도와 시간을 맞춰야 한다. 이게 다 고기가 두꺼워서 생기는 문제다. 몇 가지 기본만 갖추면 된다. 첫째, 겉면을 굽고(시어링), 둘째, 버터를 끼얹으면서 안쪽까지 열이 전달되도록 하고(베이스팅), 셋째, 꺼내서 적정 시간을 식힌다(레스팅). 핵심은...
페이지뷰 보다 열독률, 카카오 뉴스 알고리즘의 원리.

페이지뷰 보다 열독률, 카카오 뉴스 알고리즘의 원리.

요즘 뉴스 추천 알고리즘이 화두인데요. 카카오의 뉴스 추천 알고리즘은 일부 공개돼 있습니다. 2019년에 나온 논문이군요. 다음은 카카오 이동권 매니저와 고려대학교 김대원 교수가 쓴 논문 “Kakao Deep Reading Index: Consumption Time as a Key Factor in News Curation Algorithm”을 정리한 것입니다. http://www.itiis.org/digital-library/manuscript/2504 과거 루빅스 시스템은...
인셉션 마지막 장면이 말하는 것.

인셉션 마지막 장면이 말하는 것.

생각나서 찾아봤습니다. 위의 두 장은 코브의 기억. 아래 두 장은 마지막 장면. 입고 있는 옷도 다르고 아이들이 좀 더 컸군요. 2년 정도 더 큰 거 같고요. 아래 왼쪽은 약간 착각하기 좋게 찍었는데 클로즈업한 장면을 보면 확실히 다른 아이들입니다. 실제로 캐스팅도 아이들이 두 명씩 네 명이라고 하고요. 엔딩을 두고 논란이 있긴 했지만 일찌감치 정리된 문제였죠. 아버지 역할을 맡았던 마이클 케인이 영화 개봉 8년 뒤에 한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I said,...
알고리즘이 지배하는 포털 공론장, 이대로 좋은가.

알고리즘이 지배하는 포털 공론장, 이대로 좋은가.

이명박 대통령 후보 캠프에서 뉴미디어 간사를 지낸 진성호 씨가 “네이버는 평정됐고 다음은 손봐야 한다”고 말했던 게 2007년 일이다.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편집을 하고 다음은 좀 더 진보적인 성향을 보인다는 평가가 많지만 지난해 9월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의 “카카오 들어오라 하세요” 메시지 논란에서 보듯 서 있는 자리에 따라 풍경이 다를 수밖에 없다. 플랫폼 공정성 이슈는 여전히 뜨겁고 중요한 쟁점이다....
이용자 패턴을 반영하는 알고리즘의 편향… 네이버에서 ‘생태탕’ 기사가 잘 안 보였던 이유.

이용자 패턴을 반영하는 알고리즘의 편향… 네이버에서 ‘생태탕’ 기사가 잘 안 보였던 이유.

좋은 기사를 만드는 것과 좋은 기사를 많이 읽히게 만드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많이 읽히는 기사가 반드시 좋은 기사도 아니고 안 읽힌다고 해서 좋지 않은 기사가 아닌 것도 아니죠. 하지만 기사는 많이 읽혀야 힘이 생깁니다. 많이 읽지 않더라도 꼭 써야 할 기사가 있지만 많이 읽으면 실제로 변화가 일어납니다. 변화를 만들려면 읽게 만들어야 합니다. 한국의 뉴스 유통 환경에서는 어떤 기사를 많이 읽게 만드느냐가 포털이 확보하고 있는 권력이고 의도하거나 의도하지 않거나...
발행 부수 조작 파문, 종이신문 패러다임의 종말.

발행 부수 조작 파문, 종이신문 패러다임의 종말.

누가 요즘 종이신문을 보나 싶지만 아직도 날마다 찍는 종이신문이 900만 부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가운데 700만 부 가까이 팔린다고 하고요. 오래된 거짓말이고 신문 산업의 구조 개편을 지연시켜온 거대한 사기극입니다. 미디어오늘은 여러 차례 ABC 부수공사 문제를 보도했습니다.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가 집요하게 추적하고 있죠. 정철운 기자의 조선일보 언박싱 영상도 추천합니다. 정철운 기자가 옥션에서 5970원어치 신문지 뭉치를 주문했는데 다음날 펼쳐 보지도 않은...
징벌적 손해 배상을 보는 세 가지 관점.

징벌적 손해 배상을 보는 세 가지 관점.

언론 보도에 대한 징벌적 손해 배상 논란을 다룬 신문과방송 3월호. 세 사람의 기고가 실려 있는데, 각각 개요와 찬반 성격의 글이다. 지금까지 나온 법안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언론의 악의적인 불법 행위에 징벌적 배상을 물려야 한다는 법안도 있고 둘째, 언론 보고가 악의적일 경우 배액 배상을 명령해야 한다는 법안도 있다. 셋째, 비방할 목적이 확인되면 징벌형을 내려야 한다는 법안도 있다. 넷째, 고의나 중대 과실에 해당하는 경우 배액 배상을 하게 하겠다는...
산으로 가는 언론 개혁 논의, 핵심 요약과 제안.

산으로 가는 언론 개혁 논의, 핵심 요약과 제안.

언론 보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 민주당이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고 언론노조 등은 반발하고 있죠. 사실 저도 이런저런 소송을 많이 겪어봤고 말지 시절에는 박정희 명예훼손 사건으로 검찰이 저에게 징역 1년을 구형한 적도 있었습니다. 미디어오늘은 해마다 수십여 건의 소송을 치르고 있고요. 저나 미디어오늘이나 소송은 두렵지 않습니다. 징벌적 손배가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원칙을 지키는 언론사들은 걱정할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요즘 정부와 여당이 밀어붙이는 언론 개혁 논의를...
일제 시대의 냉면 배달부.

일제 시대의 냉면 배달부.

김하영의 ‘뭐든지 배달합니다’를 읽고 주니어 미오에 서평을 써야지 생각만 하던 참인데, 주말에 송원섭의 ‘양식의 양식’을 읽으면서 보니 역시 “우리는 배달의 민족이었어” 하는 생각이. 글쓴이는 “夜光生”, 조선판 김하영인가. 링크한 글은 1932년 ‘별건곤’이라는 잡지에 실린 ‘비밀 가정 탐방기’라는 글인데 기자가 냉면 배달부가 돼서 관철동과 재동, 서대문 등등에 냉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