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leejeonghwan | Jan 19, 2023 | Story.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 포커스 기고입니다.) 핵심은 중요한 뉴스에 대한 가치 판단… 공정성은 기계적 중립이 아니라 적극적 선택과 토론으로 가능. 공공뉴스포털에 대한 논의를 환영한다. 우리에게는 대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대안 포털이 필요하다는 수준을 넘어 좀 더 현실적인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다. 첫 번째 질문. 언론사들이 모여서 새로운 포털 사이트를 만들면 떠났던 독자들이 몰려올까. 두 번째 질문. 그 새로운 포털은 네이버나 다음과 무엇이 다를까. 세 번째 질문. 그...
by leejeonghwan | Jan 15, 2023 | Story.
이 글은 “저널리즘 생태계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7가지 키워드”라는 제목으로 쓴 글 가운데 3장이다. 전문은 자유언론실천재단에서 펴낸 ‘한국 언론 직면하기’를 참고하기 바란다. —– 2013년 무렵, 한 건설회사 홍보 담당 임원을 만나 밥을 먹다가 놀라운 이야기를 들었다. “아무개 신문에 분양 광고를 전면으로 내는데 1억 원이 들었는데, 하루 종일 전화가 30통도 안 오더라고요. 그런데 네이버에 기사를 걸기로 하고 1000만 원을 줬더니 네이버 1면에...
by leejeonghwan | Jan 11, 2023 | Story.
이 글은 “저널리즘 생태계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7가지 키워드”라는 제목으로 쓴 글 가운데 1장이다. 전문은 지난해 10월 자유언론실천재단에서 펴낸 ‘한국 언론 직면하기’를 참고하기 바란다. —– “로두스에 가 봤어? 거기서는 정말 높이 뛸 수 있었는데.” 누군가가 허풍을 떨자 듣고 있던 사람이 말했다. “그래? 여기가 로두스다. 여기서 그렇게 뛰어 봐라(Hic Rhodus, hic saltus).” 이솝 우화에 나오는 이야기다. 프리드리히 헤겔은 이...
by leejeonghwan | Jan 1, 2023 | Story.
제일기획 광고 연감 데이터입니다. 주요 언론사 매출액 추이와 함께 살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주요 언론사 매출액 2021년 업데이트. English Korean Japanese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Vietnamese Indonesian Thai German Russian Spanish Italian French Copy Support This...
by leejeonghwan | Nov 19, 2022 | Story.
한국인 최초로 퓰리처상을 받았던 최상훈 기자의 뉴욕타임스 기사. 뉴욕타임스는 참사 이후 20일이 지난 11월18일 이 기사를 1면 톱으로 내걸었다. 희생자들의 신발 사진도 실렸다. 누군가는 지나간 사건이겠지만 아직도 여전히 이 사건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미국인들에게도. 이 기사에는 한국 언론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여러가지 맥락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다. 다 알고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했지만 한 줄 한 줄이 마음이 너무 아프다. 제목이 말하는 것처럼 충분히 막을 수 있었는데 왜...
by leejeonghwan | Nov 16, 2022 | Story.
(최근 출간한 ‘한국 언론 직면하기’에 실린 한 챕터입니다.) 언론이 정치권력이나 자본권력의 압력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문제의식과 별개로 언론사 내부에서 편집권을 흔드는 구조적인 요인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광고와 기사를 맞바꾸자는 건 광고주의 달콤한 제안이기도 하지만 이들과 타협하고 편집국에 이를 강요하는 건 언론사 내부의 의사 결정권자들이다. 단순히 기사 한 건을 살리느냐 날리느냐의 문제를 넘어 저널리즘의 원칙 위에 군림하는 힘의 논리의 문제고 결국 뉴스 룸의 조직 문화의...
by leejeonghwan | Oct 18, 2022 | Story.
(MBC PD수첩과 인터뷰할 때 준비하면서 적은 메모입니다. 1시간 정도 촬영했는데 짧게 세 번 등장했군요.) 1. 2018년 론스타 게이트를 다룬 ‘투기자본의 천국’이라는 책을 출간하시게 된 계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책을 쓰기 위해 수만 페이지 분량의 수사기록 등을 확보해 검토하셨다고 적혀있던데요. 어떤 문건, 총 어느 정도의 분량이었는지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론스타 사건은 잘 알려져 있는 것 같지만 워낙 복잡하고 여러 가지 사건이 뒤엉켜 있어서 전체 실체를 알기가...
by leejeonghwan | Oct 17, 2022 | Story.
(10월15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에서 홍원식 교수님의 발표에 대한 토론문입니다.) 객관주의의 관행을 벗어나 목적론적 윤리관으로서 객관성의 가치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는 홍원식 교수님의 발표문 정말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먼저 생각했던 건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을 둘러싼 최근의 논란이 객관주의 관행과 객관적인 사실 추구를 구분하는 이런 논의의 사례로 적절한 것인지는 의문입니다. (오히려 몇 년 전 조국 사태가 더 이런 주제를 다루기 적당했을 것 같다는 생각을...
by leejeonghwan | Oct 16, 2022 | Story.
(학교 과제로 썼던 글입니다.) ‘배드 블러드’ 리뷰와 혈액 검사 기술의 현황과 응용 사례. 피 한 방울로 250가지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전자렌지 크기의 진단 기기를 집집마다 보급하고 날마다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만들겠다는 놀라운 발상. 한때 기업 가치가 90억 달러에 육박했던 메디컬 스타트업 테라노스(Theranos)의 이야기다. 이 글에서는 테라노스의 사기극과 몰락 과정을 취재한 월스트리트저널의 존 캐리루 기자의 ‘배드 블러드’를 기초로 혈액...
by leejeonghwan | Oct 9, 2022 | Story.
이번에 스페인 사라고사를 다녀올 때는 마드리드에서 에어유로파 항공편으로 출발해서 프랑크푸르트에서 대한항공 인천행으로 갈아타는 항공 스케줄이었는데 급하게 예약을 하느라 환승 시간이 1시간30분 밖에 안 됐다. 프랑크푸르트 공항은 환승 시간이 길기로 유명한 데다 가뜩이나 마드리드에서 10분 정도 지연 출발했다. 도착해서 보니 바로 옆옆 라인에 대한항공 여객기가 이미 들어와 있었다. 탑승 시간은 출발 시간 보다 30~40분 정도 빠르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