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한다고 들이대는 채팅 AI.
오늘 뉴욕타임스 1면 기사는 빙 AI와의 대화 내용이다. 제목은 “사랑해요. 당신은 결혼했나요?”다. “챗GPT 써봤더니” 류의 기사가 넘쳐나고 있는데 뉴욕타임스의 이 기사는 조금 다르다. -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케빈 루스는 빙(Bing)의 채팅 AI와 두 시간...
Editor’s Choices.
No Results Found
The page you requested could not be found. Try refining your search, or use the navigation above to locate the post.
말만 앞섰던 언론 개혁, 정치 의존을 넘어야 한다.
미디어오늘 사설. 2022년 1월 5일. 2008년 8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정연주...
자유언론실천상 특별상을 받았습니다.
자유언론실천재단에서 선정하는 자유언론실천상 특별상을 받았습니다. 더 잘 하라는 격려와...
‘문제 해결 저널리즘’이 출간됐습니다.
문제해결 저널리즘. 서지 정보. 글 : 이정환. 출판사 : 인물과사상사. 발행일 :...
번 아웃을 피하는 세 가지 방법.
첫째, 긍정적인 감정으로 채워라. 두려움이나 분노, 시기, 질투에 빠지지 않도록...
우리의 의식을 지배하는 알고리즘, 어디까지 알고 있습니까.
오늘도 당신은 습관적으로 페이스북 타임라인을 훑어 내리면서 수많은 '좋아요' 버튼을...
leejeonghwan.com
연구 과제 : 알고리즘은 과연 공정할까.
(학교 과제로 쓴 프로포절입니다. 연구 방법론 실습 과제였는데, 다음 학기에 모범 샘플로 학생들에게 나눠드렸다고 합니다. 실제로 이 주제로 논문을 써볼까 했으나 여러가지 현실적인 문제로 프로포털에 그쳤습니다....
달라진 의제 설정 시스템, 검색과 기사의 네트워크.
“저 섬유유연제 다우니에 어도러블 뭐시기 저시기 쓰고 있어요.” ‘다우니 어도러블’이라는 ‘인기 검색어’가 처음 뜬 건 2019년 1월20일 오후 10시38분이었습니다. 이날 저녁 방탄소년단의 정국이 팬 카페...
뉴스레터를 시작합니다.
미디어와 저널리즘, 경제, 프레임, 정보기술,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솔루션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미디어오늘 기사도 가끔 소개하고요. 구독 버튼 눌러주시면 1주일에 한 번 정도 찾아뵙겠습니다....
‘가짜 뉴스’라는 유령, ‘나쁜 뉴스’와의 전쟁.
(언론소비자주권행동 토론회 발표문입니다. 2020년 12월5일, 민변 대회의실.) 워터게이트 사건을 터뜨린 워싱턴포스트 기자 밥 우드워드가 2019년 9월 한국을 방문해 기자간담회 직후 “‘가짜 뉴스(fake...
너무 좋아 보이는 것은 실제로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너무 나빠 보이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선택적 보도? 고위공직자 ‘의혹’을 대하는 언론의 자세. 정준희 : 우리 언론은 모든 권력에 대해 의심할 권리, 의혹을 제기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권리는 팩트체크와 최소한의 공공성이 전제됐을...
서버 호스팅으로 아나콘다와 파이썬, 주피터 노트북 실행하기.
대전에서 대학원 수업을 듣기 시작하면서 아, 내가 5년만 젊었어도 지금부터라도 파이썬 공부를 시작할 텐데, 이런 소리를 했었는데 이것저것 하다 보니 결국 날림으로나마 파이썬에 손을 대게 됐습니다. 파이참도 써보고...
해서는 안 되는 질문은 없다.
(월간 신문과방송에서 뭔가 제일 쓰기 어렵고 아무도 쓰고 싶어하지 않는 복잡한 주제를 저에게 던진다는 느낌이 듭니다만 이번달에는 이런 주제로 썼습니다. 기자들이 자기 할 일만 잘 해도 조금 더 좋은 세상이 되지...
“들어오라 하세요.” 윤영찬 논란에서 이야기해야 할 것들.
이번 주 내내 뜨거웠던 뉴스죠.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의원의 카톡 지시로 불씨가 붙은 포털 사이트의 뉴스 배치 항의, 논란이 커지자, 윤영찬 의원이 사과의 뜻을 밝혔습니다만, 이로 인해 포털 사이트 뉴스의 공정성...
EndNote 사용법 간단 요약.
엔드노트(EndNote)는 논문 및 서지 관리 도구 가운데 최고로 꼽는 툴이다. 쉽게 말해 참고문헌 관리에 쓰는 툴이지만 애초에 참고 자료를 아카이빙하고 분류하는 용도로 활용하기에 좋다(고들 한다). 30만 원이...
저널리즘의 미래? 고양이와 경쟁해서는 답이 없다.
스내커블 콘텐츠의 퇴조와 브랜드 뉴스의 컴백이 주는 교훈. “우리는 위대한 고양이 사이트입니다.(“We do not get bristly, it was a great cat site.”)” 버즈피드의 편집장 벤...
코로나 팬데믹, 무책임한 언론 보도가 위기를 키운다.
(9월3일 TBS 정준희의 해시태그에서 했던 이야기들입니다.) 정준희/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 됐습니다. 당초 현재보다 강화된 정책인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로의 격상 필요성이 논의되던 상황에서 언론의...
포털 연구 논문 분석.
대학원 논문으로 포털의 의제 설정 기능에 대한 주제를 다룰까 하고 관련 논문들을 정리하고 있는데 저장 용도로 공유합니다. 계속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참고할 만한 좋은 논문이 있으면 추천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
“위기의 시대, 공영방송의 힘과 존재의 이유를 보여줘야 한다.”
지난해 불거진 언론개혁 화두가 무르익기도 전에, 코로나19 확산으로 올해 언론은 또 다른 위기를 맞았습니다. 우리 삶의 근본적 변화를 초래할 위기의 시대에 언론, 특히 공영방송의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해보게...
미래학 개론 수업, 21시간의 기록.
험난했던 미래학 개론(Introduction of futures studies) 수업이 끝났다. 마지막 수업의 과제는 미래에 대한 노래를 만들고 직접 부르라는 것이었다. 노래를 부르라고? 한국 말로 부를 거면...
“기자들이 모르는 세계, 누군가는 답을 알고 있다.”
데이빗 본스타인 솔루션저널리즘네트워크 대표 강연과 인터뷰. (다음은 2019년 11월24일에 열린 경기도 주최 경기뉴미디어컨퍼런스와 11월25일에 열린 미디어오늘과 아쇼카한국 공동 주최 솔루션 저널리즘 워크숍에서...
“본질과 구조에 대한 질문, 해법과 과정을 추적하라.”
“솔루션 저널리즘, 조직과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 안녕하세요. 미디어오늘 이정환 대표입니다. 오늘은 “솔루션 저널리즘과 저널리즘 씽킹 방법론”이라는 주제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저는 3년 전부터 솔루션...
솔루션 저널리즘에 대한 5가지 오해.
(민주언론시민연합 기고입니다.) 소설가 김훈이 지난해 5월, “아, 목숨이 낙엽처럼”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한겨레에 썼다. 건설 현장에서 추락사하는 노동자가 해마다 270명 이상이라고 한다. 김훈은 “이 사태가...
누가 한국 언론을 지배하는가.
때로는 소유가 존재를 규정한다. 한국 언론의 소유지배 구조를 살펴보면 몇 가지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아래 수치와 그래프는 모두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산업 실태조사와 언론연감을 기초로 미디어오늘 직접 취재와...
N번방 이슈를 끌어올린 건 언론의 침묵에 맞선 독자들이었다.
(월간 신문과방송 2020년 6월호 기고입니다.) “이슈는 묻어가지만 단독 따라가긴 부담스러워”… 한국 언론 의제 설정 시스템에 던진 질문. 뉴스는 생물이다. 살아 움직이고 서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별 거...
익숙한 것들과의 결별, 광고 중독을 끊어야 저널리즘이 산다.
(민중의소리 창간 20주년 특별 기획으로 기고한 글입니다.) 물이 빠지면 누가 발가벗고 수영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익숙한 기시감이지만 위기와 재난이 닥칠 때마다 우리는 언론의 바닥을 다시 발견하게 된다....
언론사 징벌적 손해 배상, 어디까지 가능할까.
정청래 의원이 언론사에 징벌적 손해 배상을 물리는 법안(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악의적인 언론의 허위 왜곡 보도에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많고 정 의원 역시 언론 보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