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세상은 가능하다, 이정환닷컴!

‘버닝’과 ‘헛간을 태우다’.

Written by leejeonghwan

May 20, 2018

이창동의 영화 ‘버닝’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 ‘헛간을 태우다’가 원작이라고 한다. 원작이라고는 하지만 모티브만 따왔을 뿐 전혀 다른 내용이라는데 시놉시스를 살펴보니 기본 골격과 디테일을 상당 부분 그대로 살린 듯.

하루키의 소설에서는 이름 없는 남자로 나오지만(영화에서 이름은 벤이다), 주인공이 이 남자를 피츠제럴드의 ‘그레이트 개츠비’ 같다고 생각하는 대목이 나온다. 사실 이 개츠비는 하루키의 소설에 반복해서 등장하는 인물이다.

약간씩 성격은 다르지만,
‘노르웨이의 숲(상실의 시대)’에서의 나가사와,
‘기사단장 죽이기’에서의 멘시키,
‘양을 쫓는 모험’에서의 ‘쥐’,
‘댄스댄스댄스’에서의 고혼다 등등.

잘 생겼고(손가락도 길고) 성격도 좋고 재능도 있지만(물론 돈도 있고) 영혼을 잠식 당한 남자. 하루키는 ‘양을 쫓는 모험’과 ’댄스댄스댄스’에서 양이 들어간 사나이와 양이 빠져나간 사나이라는 상징을 동원했다. 이들은 양을 쫓지만 양을 다시 찾을 수 없다는 걸 안다. 양이 들어온 이유도 알 수 없지만 양이 빠져나간 이유도 알지 못한다. 재능이란 그런 것이고 운명이란 불가항력적이다. 아마도 이창동 역시 하루키의 세계관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상징을 어느 정도 이해한 듯하지만 결론은 전혀 다른 영화가 된 것 같다.

‘헛간을 태우다’의 그녀(영화에서는 해미)는 ‘1Q84’의 후카에리와 ‘댄스댄스댄스’의 키키나 유키처럼 주인공을 다른 세계로 이끄는 영매의 역할을 한다. 종종 그렇듯이 ‘개츠비’와 ‘영매’의 만남은 치명적이다. ‘댄스댄스댄스’에서 유키는 살아남았지만 키키는 고혼다에게 목 졸려 죽는다.

영화는 안 봤지만 남자(벤) 역할을 맡은 스티븐 연은 고혼다 같은 역할을 하기에는 그럴 듯 해 보인다. (엄밀히 말하면 고혼다와 쥐는 전혀 다른 성격의 인물이다.) 유아인은 어쩐지 하루키 소설의 주인공으로는 너무 세다는 생각이 들지만 어차피 다른 스토리라니까 상관 없을 것 같고. 이창동이 이 미묘한 원작을 어떻게 영화로 구현했을지 궁금하긴 하지만 어쩐지 안 보게 될 것 같다.

.

www.leejeonghwan.com
leejeonghwan.com audio
Voiced by Amazon Polly

Related Articles

Related

라즈베리 파이 오디오 만들기.

라즈베리 파이 오디오 만들기.

시간 날 때마다 만들었던 라즈베리파이 오디오. 드디어 완성. 사실 별 거 없는데 여기저기서 부품 조달하고 거기에 맞춰 도면 만드는 게 힘들었습니다. build log는 영어로. This is my new network audio system. All in one Integrated Amplifier. 1. Raspberry Pi 4B. 2. Hifiberry DAC+DSP. 3. 7 inch touch screen for raspberry pi. 4. Chromecast...

1인2표제의 함정 : MBC 사장 선거의 경우.

1인2표제의 함정 : MBC 사장 선거의 경우.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해 보자. 후보는 셋이고 이 가운데 둘을 최종 결선에 내보내야 한다. 선거인단이 150명이라고 치면, A 후보가 70표를 얻고 B 후보가 50표, C 후보가 30표를 얻을 경우 A와 B가 결선에 진출한다. 그런데 가장 선호하는 후보 한 명이 아니라 두 명을 선택하게 한다면(1인2표) 어떤 변수가 발생할까. 이런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1순위에서 A=70, B=50, C=30인데, 2순위에서 A=20, B=60, C=70이면, 합산해서 A=90,...

사랑한다고 들이대는 채팅 AI.

사랑한다고 들이대는 채팅 AI.

오늘 뉴욕타임스 1면 기사는 빙 AI와의 대화 내용이다. 제목은 “사랑해요. 당신은 결혼했나요?”다. “챗GPT 써봤더니” 류의 기사가 넘쳐나고 있는데 뉴욕타임스의 이 기사는 조금 다르다. -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케빈 루스는 빙(Bing)의 채팅 AI와 두 시간 정도의 대화가 “정말 이상한 경험”이었고 “매우 불안하고 두려웠고 심지어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였다”고 털어놓고 있다. - 기자가 먼저 AI를 도발한 건 맞지만(너의 어두운 자아를 끌어내 봐) 이에 대한 AI의...

더 나은 세상은 가능하다, 이정환닷컴!

Join

Subscribe For Updates.

이정환닷컴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

www.leejeonghw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