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세상은 가능하다, 이정환닷컴!

왜 솔루션 저널리즘인가.

Written by leejeonghwan

September 4, 2017

“Solutions journalism is a rigorous and compelling coverage of responses to social problems and the results that they are producing.”

오늘 사회적경제언론인포럼 발표 자료를 공유합니다. 지난 6월 뉴욕 출장 때 비행기 시간을 3시간 남겨두고 아슬아슬하게 진행했던 인터뷰가 보람이 있군요.

한국에서도 본격적으로 솔루션 저널리즘 네트워크를 구축해 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은 네거티브 뉴스의 사회적 영향과 여론 지형 분석부터 해야 할 거고요. 케이스 스터디와 사례 수집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솔루션 저널리즘 툴 킷도 단순히 한글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적 상황에 맞게 다시 해석해서 매뉴얼을 만들어야 할 거고요. 적극적으로 논의가 진전됐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하신 분은 문의 주세요. 강연 요청이나 토론 제안도 환영합니다.

“This is not about asking journalists ‘to abandon their journalistic sensibility but to use their skills to show as rigorously as possible how people are responding to problems, what results they’re getting, how they’re getting them, and what can be learned from those efforts.”/ David Bornstein.

“Solution Journalism is thoughtful, critical stories about how people are advancing new ideas, models and institutions to address social ills more effectively.” / David Bornstein.

 

아래 그림을 클릭하면 자료를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goo.gl/wKqkRT

 

 

이 기사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저널리즘은 피드백 메커니즘, 분노가 아니라 참여를 끌어내라” http://beta.mediatoday.co.kr/137357/?topic=315968

.

www.leejeonghwan.com

Related Articles

Related

라즈베리 파이 오디오 만들기.

라즈베리 파이 오디오 만들기.

시간 날 때마다 만들었던 라즈베리파이 오디오. 드디어 완성. 사실 별 거 없는데 여기저기서 부품 조달하고 거기에 맞춰 도면 만드는 게 힘들었습니다. build log는 영어로. This is my new network audio system. All in one Integrated Amplifier. 1. Raspberry Pi 4B. 2. Hifiberry DAC+DSP. 3. 7 inch touch screen for raspberry pi. 4. Chromecast...

1인2표제의 함정 : MBC 사장 선거의 경우.

1인2표제의 함정 : MBC 사장 선거의 경우.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해 보자. 후보는 셋이고 이 가운데 둘을 최종 결선에 내보내야 한다. 선거인단이 150명이라고 치면, A 후보가 70표를 얻고 B 후보가 50표, C 후보가 30표를 얻을 경우 A와 B가 결선에 진출한다. 그런데 가장 선호하는 후보 한 명이 아니라 두 명을 선택하게 한다면(1인2표) 어떤 변수가 발생할까. 이런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1순위에서 A=70, B=50, C=30인데, 2순위에서 A=20, B=60, C=70이면, 합산해서 A=90,...

사랑한다고 들이대는 채팅 AI.

사랑한다고 들이대는 채팅 AI.

오늘 뉴욕타임스 1면 기사는 빙 AI와의 대화 내용이다. 제목은 “사랑해요. 당신은 결혼했나요?”다. “챗GPT 써봤더니” 류의 기사가 넘쳐나고 있는데 뉴욕타임스의 이 기사는 조금 다르다. -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케빈 루스는 빙(Bing)의 채팅 AI와 두 시간 정도의 대화가 “정말 이상한 경험”이었고 “매우 불안하고 두려웠고 심지어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였다”고 털어놓고 있다. - 기자가 먼저 AI를 도발한 건 맞지만(너의 어두운 자아를 끌어내 봐) 이에 대한 AI의...

더 나은 세상은 가능하다, 이정환닷컴!

Join

Subscribe For Updates.

이정환닷컴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

www.leejeonghwan.com